체언은 문장 안에서 주로 주체의 역할을 맡는 단어로 명사, 대명사, 수사로 이루어져 있다. 체언은 형태가 변하지 않고 고정되어 쓰인다. '다리를 건너다', '다리로 건널까', '건너려면 다리가 필요하다'와 같이 체언인 '다리'는 형태가 고정되어 있는 반면 용언인 '건너다'는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하고 있다. 체언은 주로 조사의 도움을 받아 문장 안에서 역할이 정해진다. '정장이 잘 어울린다', ' 내일 정장을 입어볼까', '정장의 소매에 얼룩이 묻었다'에서 '정장'은 각각 주어, 목적어, 관형어로 쓰이고 있다. 체언은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새 신발', '두 학생', '젊은 그대'와 같이 수식을 받지만 예외로 수사는 관형사 혹은 관형사형 용언으로부터 수식을 받을 수 없다. 명사는 사물의 이름..
단어는 형태, 기능, 의미에 따라 갈래를 나눌 수 있고 그것을 품사라 부른다. 의미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는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조사, 동사, 형용사로 나뉜다. 기능을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는 체언, 수식언, 독립언, 관계언, 용언으로 나뉜다. 형태를 기준으로 나누었을 때는 불변어, 가변어로 나뉜다. 조사는 불변어에 해당하지만 예외로 서술격 조사는 가변어로 분류된다. 서술격 조사 '-이다'는 '학생이다', '학생이구나', '학생이네'와 같이 변형할 수 있다. 형태 기능 의미 예시 불변어 체언 명사 겨울, 의자, 창문 대명사 그, 그녀, 그것, 우리, 너희 수사 하나, 둘, 셋째 수식언 관형사 첫, 헌, 순 부사 매우, 가장, 과연 독립언 감탄사 아야, 어이쿠, 악 관계언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