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에서 쓰인 '같은'은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라는 뜻의 형용사 '같다'의 활용형이다. '같이'는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로 쓰였다. 따라서 '같은'은 띄어 쓰고 '같이'는 붙여 쓴다. 다만 '꿈같은'은 합성 형용사 '꿈같다'의 활용형이므로 붙여 쓴다. '같다'가 포함된 합성어에는 '감쪽같다', '불꽃같다', '실낱같다', '찰떡같다' 등이 있다. 같다 ⌜형용사⌟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 나와 그의 나이는 같다. - 우리는 고향이 같다.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 - 비단 같은 머릿결. - 백옥 같은 피부. 같이 ⌜조사⌟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 하얀 눈같이 순수한 마음. ((..
'대로'는 쓰임새가 다양해서 모든 뜻을 외우기가 어렵다. 문장에서 그 의미를 생각하기보다는 앞말이 체언인지 확인하고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쉽다. '만큼', '대로', '뿐'에 모두 해당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만큼대로뿐'으로 외워두면 편하다. 대로 ⌜조사⌟ (체언 뒤에 붙어) 앞에 오는 말에 근거하거나 달라짐이 없음을 나타내는 보조사. - 너 마음대로 해. 따로따로 구별됨을 나타내는 보조사. - 불량품은 불량품대로 따로 빼다. 대로 ⌜의존명사⌟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 들은 대로 이야기하다. ((어미 ‘-는’ 뒤에 쓰여))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 택배가 도착하는 대로 반송했다. ((어미 ‘-는’ 뒤에 쓰여))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족족. - 음식을 주는 대로 먹어치웠다. ..
'만큼'은 의존명사 또는 조사로 쓰인다. 의미만으로는 어떤 품사에 해당하는지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뿐', '대로'처럼 앞말의 형태로 구분하는 것이 쉽다. 만큼 ⌜의존명사⌟ ((주로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여))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임을 나타내는 말. - 일한 만큼 대가를 받는다. - 소리를 지를 수 없을 만큼 아팠다. ((주로 어미 ‘-은, -는, -던’ 뒤에 쓰여)) 뒤에 나오는 내용의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 그는 덩치가 컸던 만큼 많이 먹었다. - 열심히 공부한 만큼 점수도 잘 받았다. 만큼 ⌜조사⌟ (체언의 바로 뒤에 붙어)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 깃털만큼 가볍다. - 그녀의 눈동자는 바다만큼 푸르렀다.
'뿐'은 의존 명사 또는 조사로 쓰일 수 있다. 의존 명사는 하나의 단어로 앞말과 띄어 쓰고 조사는 앞말과 붙여 쓴다. 문장에서 쓰인 의미만으로 품사를 구분하기 어려울 수도 있어 앞말에 주의를 둘 필요가 있다. 뿐 「의존 명사」 ((어미 '-을', '-ㄹ' 뒤에 쓰여)) 다만 어떠하거나 어찌할 따름이라는 뜻을 나타내는 말. - 어찌할 줄 몰라 서있을 뿐이었다. - 돈이 없어 라면으로 매 끼니를 때울 뿐이지 좋아서 먹는 것이 아니다. - 죄책감에 도리어 화를 내는 자신이 원망스러울 뿐이다. (('-다 뿐이지' 구성으로 쓰여)) 오직 그렇게 하거나 그러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 - 점심을 같이 먹는다 뿐이지 그에게 다른 감정을 느끼진 않았다. - 9월이 되었다 뿐이지 더위는 여전하다. 뿐 「조사」 ((체언이..